페이먼츠

PG 용어 정리

PG 용어 정리

결제 방식


  • 온라인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큰 차이중 하나는 결제 방식
  • 오프라인은 단말기가 문제가 생길시에는 현금을 받거나 계좌이체 방식으로 거래 가능
  • 온라인은 PG사와의 계약을 통해 전자결제서비스를 구축해야만 거래가 가능
    • 현금을 입금하는 계좌이체라고 하더라도

PG란


  • PG란 Payment Gateway의 줄인말로 결제를 위한 관문을 뜻함.
  • 많은 쇼핑몰들이 10여 개의 신용카드사, 간편결제 제공사와 직접 거래 계약을 맺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.
  • PG사는 신용카드사와 직접 계약하기 어려운 온라인 쇼핑몰을 대신해 결제와 정산 업무를 대행해 주는 업체.
  • PG사와 계약을 하게 되면 카드결제, 휴대폰 결제, 계좌이체, 무통장입금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제공 가능하다.
  • 결제를 대신해 준다고 해서 결제대행사라고 부름.

PG 사업자

graph LR; 구매자--주문-->판매자; 판매자--배송-->구매자; 판매자--PG수수료-->PG; PG--대금입금-->판매자; PG--승인/정산요청-->결제기관; 결제기관--결제대금 청구 및 수납-->구매자; 결제기관--대금입금-->PG;
  • PG수수료(매출)
  • 판매자(가맹점)
  • 대금입금(결제대금-금융수수료)
  • 결제기관(카드사, 은행, 통신사, 상품권 등)

PG용어


    PG사마다 사용하는 용어가 조금씩 다름
  • 매출액
    • 매출이 발생한 금액
    • 호스팅사 통해서 쇼핑몰 구축한 경우 호스팅사에서도 매출액 확인 가능
  • 정산
    • PG사는 결제와 카드사 정산을 대신해 주고 수수를 받음
    • 매출액에서 카드사 수수료와 PG사 수수료를 제외하는 과정 (매출액 - 카드사 수수료 - PG사 수수료 = 정산)
    • 정산 관련 정보는 호스팅사 페이지에서는 볼 수 없음
      • PG사 관리 페이지에서만 확인 가능
    • 정산주기는 PG 계약에 따라 다름
    • 업종과 회사 특성에 따라 정산주기(일정산, 주정산, 월정산)와 정산한도가 조정될 수 있음
    • 쇼핑몰은 급속도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매출액이 급증하는 시기에 정산한도를 체크해 보는게 좋음
  • 정산일
    • 보통 PG사에서는 쇼핑몰 매출이 발생하고 하루가 지나면 수수료를 제외한 입금 예정 정산액 계산하는데 이날을 정산일이라고 부름
    • 세금계산서가 정산일 기준으로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
  • 입금보류
    • PG사에서 쇼핑물에 정산금액에 대한 지급을 잠시 미룬다는 뜻
    • 지급보류라고 표기하기도 함
    • 쇼핑몰의 매출액보다 환불금액이 높아지기 시작할 때 입금보류가 될 수 있음

    쇼핑몰 초기에는 매출액이 적어서 호스팅사에서 제공하는 매출 정보만 파악하는 경우가 많음
    매출액과 정산되어 입금 받는 금액이 다르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함

© 2020. All rights reserved.

SIKSIK