업무 프로세스 분석과 데이터베이스 모델링
데이터 표준화
카테고리 :
데이터베이스 모델링 tag #
Databasemodeling 데이터 표준화
데이타 품질 관리
데이터 품질 관리란?
- 조직 내외부의 지식 노동자와 최종 사용자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데이터 및 데이터 서비스 개선 활동
데이터 품질요소
- 데이터 품질요소에는 크게 데이터 값(Data Value), 데이터 구조(Data Hierarchy),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(Data Management Process)등이 있다.
조직 \ 대상 | 데이터 | 데이터 구조 |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|
---|
CIO / EDA (개괄적 관점) | 데이터 관리 정책 | | |
DA (개념적 관점) | 표준 데이터 | 개념 데이터 모델, 데이터 참조 모델 | 데이터 표준 관리, 요구 사항 관리 |
Modeler (논리적 관점) | 모델 데이터 | 논리 데이터 모델 | 데이터 모델 관리, 데이터 흐름 관리 |
DBA (물리적 관점) | 관리 데이터 | 물리 데이터 모델, 데이터베이스 | 데이터베이스 관리 |
User (운용적 관점) | 업무 데이터 | 사용자 뷰 | 데이터 활용 관리 |
데이터 요건 분석
데이터 요건 분석이란?
-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, 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것
정보 요구 사항의 유형
- 외부 인터페이스 요건
- 기능 개선 요건
- 성능 개선 요건
- 처리하는 정보의 양과 트랜잭션 처리 시간에 대한 요건
- 보안 개선 요건
- 주요 데이터에 대한 물리적 접근 통제 및 사용 통제에 대한 요건
정보 요구사항 생명주기
- 생명주기 모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 정보 요구 사항이 정보시스템에 누락 없이 반영되어야 한다

데이터 표준화
데이터 표준화란?
-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 별로 산재해있는데 데이터 정보 요소에 대한 명칭, 정의, 형식,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여 이를 전사적으로 적용하는 것
-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이다.

데이터 표준화 구성요소

- 전사적인 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수립해야 할 표준화 구성요소는 데이터 표준, 데이터 관리 조직, 데이터 표준화 절차 이다
데이터 표준이란?
- 정보 시스템에서 상용되는 용어 및 도메인, 코드, 기타, 데이터 관련 요소에 대해 공통된 형식과 내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표준 관리 데이터를 의미
데이터 표준화 방법
- 표준 단어 사전
- 업무상 사용되며, 일정한 의미를 갖는 최소 단위의 단어를 정의한 사전
- 표준 용어
- 용어는 업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의 조합이다
- 표준 용어를 정의함으로써 기업 내부에서 서로 상이한 업무 간에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유발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
- 표준 도메인 사전
-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 유형과 길이를 정의한 것을 말한다
- 속성과 도메인은 상호 매칭되어야 한다
- 표준 코드
- 법적 제도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에서 정의해서 사용하는 코드를 표준화 한다
데이터 표준 관리 조직
- 전산적으로 수립된 데이터 표준 원칙, 데이터 표준, 데이터 표준 준수 여부 관리 등을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자(DA, Data Administrator)의 역할이 요구된다
- 데이터 관리자는 기업 또는 조직 내에서 데이터에 대한 정의, 체계화, 감독, 및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관리자를 의미한다.
데이터 관리자의 주요 역할
- 데이터에 대한 정책과 표준 정의
- 부서간 데이터 구조를 조율
- 데이터 보안 관리
- 데이터 모델 관리
- 데이터 효율적인 활용 방안 계획
데이터 관리자 구분
- 전사 데이터 관리자
- 업무 데이터 관리자
- 업무 시스템 데이터 관리자
데이터 관리자(DA) 와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(DBA)
구분 | 데이터 관리자 (DA) | 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 |
---|
관리대상 | 데이터 요구 사항을 반영한 데이터 모델 및 각종 표준 | 데이터 모델을 특정 데이터베이스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|
주요업무 |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정의하고 신규 또는 변경된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데이터 모델에 반영 | 요구되는 성능 수준을 발휘하면서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|
품질수준 확보 | 데이터 표준의 관리 및 적용을 통해 품질 수준을 확보 | 데이터의 정합성 관리를 통해 데이터 품질 수준을 확보 |
전문기술 | 담당 업무 분야에 대한 업무 지식과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 | 데이터 모델이 대한 해독 능력 및 특정 데이터베이스 제품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 |
데이터 표준화 절차
구분 | 주요 활동 |
---|
데이터 표준화 요구 사항 수집 | 개별 시스템 데이터 표준 수집 , 데이터 표준화 요구 사항 수집 , 표준화 현황 진단 |
데이터 표준 정의 | 표준화 원칙 , 데이터 표준화 정의 (표준 단어, 표준 도메인, 표준 용어, 코드 및 기타) |
데이터 표준 확정 | 데이터 표준 검토 및 확정 , 데이터 표준 공표 |
데이터 표준 관리 | 데이터 표준 이행 , 데이터 표준 관리 절차 수립 (데이터 표준 적용, 변경, 준수 검사 절차) |